워싱턴포스트는 올해 초 바이든 행정부의 가장 큰 숙제가 우크라이나에 155mm 포탄을 공급하는 일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장에선 한 달에만 9만 발 이상 포탄이 필요한데 미국이 조달할 수 있는 건 10분의 1 가량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탄약을 대량으로 보유한 한국에 눈을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이라면 41일 안에 공중과 해상으로 33만 발을 실어나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교전 지역에 무기 공급을 금지하고 있는 한국 법이 장벽이었고 결국 간접 지원 방식은 수용할 수 있다는 한국 정부의 뜻에 따라 올해 초부터 탄약 공급이 성사됐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포스트는 결과적으로 한국이 모든 유럽 국가의 공급량을 합산한 것보다 더 많은 포탄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한 나라가 됐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문은 한국에서 이송된 포탄 규모를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국 포탄이 우크라이나로 곧바로 전달됐는지, 미국이 한국 포탄을 무기고에 채우는 우회 방식을 취했는지도 명확히 다루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백악관은 연말이면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이 바닥난다며 예산안 통과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지원 없이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무릎 꿇을 수 밖에 없다며 의회를 재촉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제이크 설리번 /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: 구석에 숨겨둔 마법의 돈항아리 같은 건 없습니다. 의회가 지금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더 이상의 우크라이나 지원도 불가능합니다.] <br /> <br />앞서 공화당이 다수당인 하원은 백악관이 패키지로 제출한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 지원 예산 가운데 이스라엘만 따로 떼서 통과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존슨 하원의장은 밑 빠진 독에 물을 부을 수 없다던 기존 입장에서 우크라이나 지원도 필요하다는 쪽으로 변화를 시사했지만 백악관의 남부 국경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ㅣ강연오 <br />그래픽ㅣ김효진 <br />자막뉴스ㅣ이미영 <br />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20511133364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